아! 마더 데레사
"사랑하십시오.
사랑은 승리의 길입니다.
자! 시작합시다!"
"가난한 사람들 처럼 그냥 죽어가게 해 주십시오. 많은 사람들이 병원 구경도 못해 보고 죽어가고 있는데 나에 대한 간호가 어찌 이리 극진합니까?" 이렇게 데레사 수녀는 죽기 한 해 전 11월 23일, 심장마비로 입원하면서 자책했다. 길거리에 버려져 죽어가는 빈자(貧者)들을 보듬어 안고 눈물을 흘리는 '가난한 사람의 어머니'무한한 사랑을 종교와 인종을 초월해서 실천한 20세기 말의 천사, 1979년 가난한 사람의 이름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은 세기의 성녀(聖女)가 마더 데레사였다.
1910년 8월 27일, 알바니아에서 출생하여 20여년간 인도 켈커타에서 교사로 지낸 데레사는 2차대전 중 수백만명이 죽고 가난으로 고통 받는 것을 보았다. 구걸하는 거지에게 베풀고 고맙다는 인사도 받지 못할 만큼 이 세상에서 빈곤을 가장 절실하게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도시가 켈커타다.
데레사는 이곳이야말로 하느님이 부르시는 현장임을 절감하고 38세(1948년)에 단돈 45루피(한화 1,080원)로 빈자들의 안식처인 '사랑의 선교회'를 설립했다. 하얀 '사리'(인도 여성들의 의상)와 이마에는 푸른 줄무늬가 있고 어깨에 십자가를 맨 수도복을 입은 데레사 수녀는 전 세계 126개국 200여 도시에 600여개의 세계적인 자선기관을 세웠다.
데레사 수녀는 가난하고 병든 사람을 위해 일하는 4천4백여명의 '제2의 데레사'들을 남기고 1997년 9월 5일, 하늘나라로 갔다. 때마침 내린 '장대 빗줄기'는 하늘의 통곡인 양 켈커타는 울었다. 온 인류는 '아름다운 사랑의 어머니' 데레사의 얼굴에서 "서로 사랑하십시오." 하신 예수님을 보았다. 데레사 수녀는 세계가 기피하고 소외 시켰던 사람들에게 사랑과 평화, 기쁨을 가져다 주는 화신(化身)이었다.
전 세계는 <빈자들의 어머니> 마더 데레사 수녀를 성인 반열에 올리도록 청원하는 호소를 교황 요한 바울로2세에게 올렸다.
2002년 10월 1일, 교황청 시성성에서 데레사 수녀에 대한 기적이 인정 되었다. 마침내 2003년 10월 19일, 마더 데레사 수녀의 시복식(諡福式:성인 칭호의 바로 아랫단계 의식)이 교황 요한 바울로 2세의 집전으로 바티칸성 베드로광장에서 사상 최대의 30여만명 순례객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마더 데레사 수녀는 오늘도 호소한다.
"사랑하십시오. 사랑은 더 큰 사랑을 부르며,
승리의 길이요 구원이요 희망이기 때문입니다.
자, 시작합시다.!"
2012, 8, 20.
한국 천주교회
"천주교를 알려 드립니다"에서
해 봉